JLPT소개

JLPT 서울실시위원회

1544-9760
업무시간
AM 09:30 ~ PM 18:00
점심시간 12:30 ~ 13:30
토,일요일 및 공휴일 휴무

시험의 내용

JLPT 레벨 안내
시험은 N1, N2, N3, N4, N5로 나뉘어져 있으며 수험자가 자신에게 맞는 레벨을 선택하여 응시합니다.
가장 쉬운 레벨은 N5이며 가장 어려운 레벨은 N1입니다.

N1, N2는 ①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독해, ②청해의 두 과목으로,
N3, N4, N5는 ①언어지식(문자・어휘), ②언어지식(문법)・독해, ③청해의 세 과목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JLPT 레벨 인정 기준은 아래 표와 같이 『읽기』, 『듣기』의 언어 행동으로 나타냅니다. 각 레벨에 맞는 언어 행동을 구현하기 위한 문자, 어휘, 문법 등의 언어지식도 기본적으로 필요합니다.
JLPT 인정 기준
레벨 과목별 시간 인정 기준
N1 언어지식
(문자·어휘·문법)
독해
110분 구)JLPT (2009년 2회차까지의 시험) 1급보다 다소 높은 레벨
폭넓은 상황에서 사용되는 일본어를 이해할 수 있다.
폭넓은 화제에 대한 신문 논설, 평론 등 논리적으로 다소 복잡한 글이나
추상도가 높은 글 등을 읽고, 글의 구성이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내용의 깊이가 있는 글을 읽고 이야기의 흐름이나 상세한 표현 의도를 이해할 수 있다.
청해 55분 폭넓은 상황에 있어 자연스러운 속도의 회화나 뉴스, 강의를 듣고
이야기의 흐름이나 내용, 등장인물의 관계, 내용의 논리적 구성 등을 상세하게 이해하고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N2 언어지식
(문자·어휘·문법)
독해
105분 구)JLPT 2급과 거의 같은 레벨
일상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는 일본어의 이해와 더불어, 보다 폭넓은 상황에서 사용되는 일본어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신문이나 잡지 기사, 해설, 쉬운 평론 등 논지가 명확한 글을 읽고 글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인 화제의 글을 읽고 이야기의 흐름이나 표현 의도를 이해할 수 있다.
청해 50분 일상적인 상황과 더불어, 다양한 상황에서 자연스러운 속도의 회화나
뉴스를 듣고 이야기의 흐름이나 내용, 등장인물의 관계를
이해하거나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N3 언어지식
(문자·어휘)
30분 구)JLPT 2급과 3급 사이에 해당하는 레벨(신설)
일상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는 일본어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일상적인 화제에 대해 쓰인 구체적인 내용을 나타내는 글을 읽고 이해할 수 있다.
신문 기사 제목 등에서 정보의 개요를 파악할 수 있다.
일상적인 상황에서 난이도가 약간 높은 글은, 다른 말로 바꿔 제시되면 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언어지식
(문법)
독해
70분
청해 40분 일상적인 상황에서 자연스러움에 가까운 속도의 회화를 듣고
이야기의 구체적인 내용을 등장인물의 관계에 맞춰 거의 이해할 수 있다.
N4 언어지식
(문자·어휘)
25분 구)JLPT 3급과 거의 같은 레벨
기본적인 일본어를 이해할 수 있다.
기본적인 어휘나 한자를 이용해서 쓰여진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화제의 글을 읽고 이해할 수 있다.
언어지식
(문법)
독해
55분
청해 35분 일상적인 상황에서 다소 느리게 말하는 회화라면 내용을 거의 이해할 수 있다.
N5 언어지식
(문자·어휘)
20분 구)JLPT 4급과 거의 같은 레벨
기본적인 일본어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히라가나, 가타카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한자로 쓰인 정형적인 어구나 글을 읽고 이해할 수 있다.
언어지식
(문법)
독해
40분
청해 30분 교실이나 주변 등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접하는 상황에서 천천히 말하는 짧은 회화라면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JLPT 레벨(급수)별 합격 기준
레벨(급수) 종합 득점 득점 구분별 득점
언어지식
(문자·어휘·문법)
독해 청해
득점 범위 합격점 득점 범위 기준점 득점 범위 기준점 득점 범위 기준점
N1 0 ~ 180점 100점 0 ~ 60점 19점 0 ~ 60점 19점 0 ~ 60점 19점
N2 0 ~ 180점 90점 0 ~ 60점 19점 0 ~ 60점 19점 0 ~ 60점 19점
N3 0 ~ 180점 95점 0 ~ 60점 19점 0 ~ 60점 19점 0 ~ 60점 19점
레벨 종합 득점 득점 구분별 득점
언어지식
(문자·어휘·문법)·독해
청해
득점 범위 합격점 득점 범위 기준점 득점 범위 기준점
N4 0 ~ 180점 90점 0 ~ 120점 38점 0 ~ 60점 19점
N5 0 ~ 180점 80점 0 ~ 120점 38점 0 ~ 60점 19점
  • ※ 모든 시험 과목을 수험하고
    ①종합 득점이 합격점 이상이면서,
    ②모든 득점 구분별 득점이 구분마다 설정된 기준점 이상인 경우,
    즉 ①과 ②를 동시에 만족해야 합격입니다.

    종합득점이 아무리 높아도 득점 구분별 득점에서 하나라도 기준점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불합격입니다.
시험의구성
시험과목 대문제 N1 N2 N3 N4 N5
언어지식·독해 문자·어휘 한자읽기 O O O O O
표기 - O O O O
단어형성 - O - - -
문맥구성 O O O O O
유의표현 O O O O O
용법 O O O O -
문법 문장의 문법 1 (문법형식 판단) O O O O O
문장의 문법 2 (문장만들기) O O O O O
글의 문법 O O O O O
독해 내용이해(단문) O O O O O
내용이해(중문) O O O O O
내용이해(장문) O - O - -
통합이해 O O - - -
주장이해(장문) O O - - -
정보검색 O O O O O
청해 과제이해 O O O O O
포인트이해 O O O O O
개요이해 O O O - -
발화표현 - - O O O
즉시응답 O O O O O
통합이해 O O - - -
  • ※ 문항 수는 시험마다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시험결과 통지의 예시 (N4)
아래의 그림과 같이 합격자 또는 불합격자를 구분하여 시험결과가 통지됩니다.
▣ 합격자(N4)

▣ 불합격자(N4)

① 득점 구분별 득점 : 각 과목별 득점을 표시
② 종합득점 : 각 과목별 득점의 합산을 표시
③ 정답률 : 각 과목별 「몇 문항이 정답인가?」를 백분율로 표기
A B C
정답율 67% 이상 정답율 34% 이상 67% 미만 정답율 34% 미만
④ 퍼센트 순위
해외에서 응시한 합격자(청해면제는 제외)를 대상으로 해당 시험을 포함한 과거 6회의 수험자 집단 내에서 「자신의 득점에 미치지 못하는 수험자는 전체 몇 %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낸다. (불합격자는 해당 없으며 *로 표시)
⑤ CEFR레벨(언어능력・수용활동능력)
종합득점에 상응하는 CEFR레벨을 표시하는 것으로 불합격자는 해당이 없음(*로 표시)

▶ CEFR이란 어떤 것인가요?

유럽연합 언어 공통 참조기준을 뜻하는 CEFR(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은 유럽의 다양한 언어 학습자의 언어학습, 교수(教授), 평가의 장에서 공유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2001년 유럽연합평의회에서 발표되었습니다.

CEFR에서는 외국어의 숙달도를 A1, A2, B1, B2, C1, C2(최고 레벨은 C2)의 6개 레벨로 나누고, 각 레벨에서 외국어를 사용해서 어떤 것을 할 수 있는가를 언어능력기술문(言語能力記述文)으로 표시합니다.

CEFR는 40개 언어로 번역되어 국경과 언어를 초월하여 외국어 운영능력을 동일한 기준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국제적 기준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 CEFR과 JLPT일본어능력시험의 상관 관계

일본어에 관해서도 일본 문화청이 「일본어교육의 참조기준」(보고)을 일본국제교류기금이「JF일본어교육스탠다드」를 CEFR을 참고로 한 일본어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기준으로 발표하고 있습니다.

「일본어교육의 참조기준」(보고)에서는 학습・교육내용의 다양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각 시험이 판정하는 일본어능력에 대해서 공통의 지표를 정비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는 의견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에 근거해서 일본어능력시험의 수험자를 시작으로 관계자 모두가 일본어능력시험(JLPT)의 결과를 국제적인 기준(CEFR)에 상응시켜 참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각종 검증작업을 거쳐서 2025년 제2회 시험부터 일본어능력시험의 성적서류에 CEFR 레벨의 참고표시를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 JLPT 종합득점과 CEFR 레벨을 상응시키는 방법

JLPT를 CEFR로 상응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2024년 2월에 공표한 리포트 「일본어능력시험의 CEFR레벨 참고표시를 위해서 – 상응의 절차를 중심으로」를 참고해 주십시오.

이 리포트에서 설명되고 있는 「기준설정(standard setting)」을 2024년 10월 일본국제교류기금에서 실시했습니다. 여기서 CEFR, 시험과 평가, 그리고 일본어학습자의 능력발달 단계에 정통한 국내외 전문가들이 JLPT의 「독해」와 「청해」 각 레벨(N5~N1) 시험문제에 대해서 CEFR 레벨(A1~C2)의 판정을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해서 JLPT 종합득점상에 CEFR 레벨의 경계점을 설정했습니다.

▶ JLPT 종합득점과 CEFR 레벨의 상응 표시

1. 각 레벨의 합격자를 대상으로만 표시됩니다.

JLPT 일본어능력시험은 하나의 과목이라도 기준점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종합득점이 합격 점수 이상이더라도 불합격이 됩니다. 그 경우도 CEFR 레벨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2. JLPT 각레벨의 종합득점에 상응하는 CEFR 레벨이 참고로 표시됩니다. 종합득점은 각 과목별 득점의 합계입니다. N1~N3는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 독해, 청해」의 합계점이며, N4~N5는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독해, 청해」의 합계점입니다.

JLPT 레벨별 종합득점과 CEFR의 상응 관계는 아래의 그래프를 참고해 주십시오. CEFR Graph

척도득점이란?
전문가가 아무리 신중하게 출제하더라도 서로 다른 시기에 실시되는 시험의 난이도에는 다소 변동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JLPT는 통일된 척도를 기반으로 수치화 가능한 ‘척도득점’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수험자의 일본어 능력을 평가하고 측정합니다. 어느 해 7월과 12월에 N1을 수험한 홍길동 씨의 성적증명서 상의 청해 결과를 예로 들겠습니다.
▣ 가정 : 7월 시험보다 12월 시험이 어려웠음
시험구분 7월 시험 12월 시험
청해시험 정답 수 20문제 중에서 10문제 20문제 중에서 10문제
청해점수(척도득점) 30점 35점

※ 문항 개수 및 점수 표기는 설명을 위한 예시로서 실제 척도득점이 적용된 표시는 아닙니다.
▣ 척도득점 예시에 대한 설명
정답 수만을 비교하면 홍길동 씨의 일본어능력에는 변화가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척도득점 방식에 따라 홍길동 씨는 12월에 점수가 더 높습니다.
그 이유는 수험자가 맞힌 문제의 배점을 단순히 가산하는 방식이 아니라 수험자가 어떤 문제에 어떻게 답했는가? 즉, 정답과 오답의 패턴을 분석해서 하나의 과목(언어지식 / 독해 / 청해)에 대해 「0점 ~ 60점」이라는 척도상에 위치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이와 같은 척도득점 표기 방식을 통해서 수험자는 시험 난이도와는 독립적으로 일본어능력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사일본어학원해커스일본어 최연지시원스쿨일본어YBM어학원다락원서브대교랭귀지스퀘어 서브서울문화센터2